반응형

철학,문학,심리학 4

누군가를 신뢰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주는 것이다

누군가를 신뢰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주는 것이다-어니스트 해밍웨이- 신뢰(trust)란 단순히 상대방을 믿는 행위를 넘어, 자신의 마음이나 취약한 부분을 열어주는 깊은 감정적 교류를 의미. 여기서 "자기 자신을 준다"는 말은, 신뢰를 통해 자신의 내면 감정, 기대, 혹은 약점을 상대방에게 맡기거나 드러내는 행위로 볼 수 있다. 즉, 누군가를 신뢰한다는 것은 그 사람에게 자신의 일부를 내어주는 것과 같으며, 이는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상대와의 관계를 더 깊이 연결하려는 의지를 나타냄. 예로 "나는 너를 신뢰하기에 내 고민을 털어놓는다" → 여기서 고민을 털어놓는 것은 "나 자신"의 일부를 주는 행위. 반대로, 신뢰가 깨지면 "준 자기 자신"이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인간관계에서..

초당적

초당적 超黨的1. 명사 특정한 당파의 이해타산을 초월하여 모든 관계자가 일치하여 어떤 일을 대하는 것.2. 관형사 특정한 당파의 이해타산을 초월하여 모든 관계자가 일치하여 어떤 일을 대하는.---공부하자공부하자“초당적인 경기부양계획.”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초당적 경기부양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공화당의 제안은 쓰레기통에 폐기한 채 민주당의 아이디어만 따르고 있다고 꼬집으며.워싱턴 타임즈

인간의 욕망을 그대로 반영시킨 물질, 돈-

‘돈’, 살아가며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다. 잘 쓰면 편안한 삶을 영위하는 데좋은 역할을 해내기도 하지만 욕심을 부리거나나쁜 쪽으로 사용하게 되면 삶을 망치게 만드는 것들 중 하나다.종이조각에 불과한 돈에 사람들은 왜 그렇게 목을 매는 것일까?아니 다시 고쳐 말하면 왜 돈에 목을 맬 수밖에 없는 것일까?‘온 세상에서 이제 너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어수많은 사람들이 너의 노예가 되기를 원하지….사람보다도 위에 있고 종교보다도 강하다. 겉으로는 다 아니라고 말을 하지만 약한 자는 밟아 버린다.강한자에겐 편하다 경배하라.그 이름은 돈…돈…돈…’ (신해철-Money 가사중에서)유행가 가사에서도 읽혀지듯 돈 밝히면속물이라는 말을 듣는 게 일반적이지만 돈 때문에 울고, 웃고, 서로 더 많이 차..

홍진경 & 김영철 쨜 유튜브를 보다가 스토너의 장편소설이 궁금해 지기 시작해서 쿠팡에다 책을 주문해 놓고 기다리중..

https://youtube.com/shorts/0DbbqDHYmdw?si=ImcpdK_xVyI6VT3T 이소설을 쓸때 스토너의 감정이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그가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나은 삶을 살았던 것은 분명하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그 일에 어느 정도 애정을 가지고 있었고 그 일에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한 것에 대해 저자는 스토너의 삶을 행복하게 바라보는 것 같았다고 표현되는 감정속으로 들어가 지금 나의 현실과 매칭해 보고 싶습니다.책이 도착되면 읽으면서그의 감정과 그를통해 감명 받은 내용들을 올려 볼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