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증시
다우 | -0.4% |
S&P500 | -0.3% |
나스닥 | 0.5% |
- 미국 주요 종목
엔디비아 | -2.0% |
테슬라 | +0.4% |
브로드컴 | -4.1% |
GM | -7.4% |
미 10년물 금리 4.36%
달러 인텍스 103.9pt
달러/원 1465.1원
별다른 힘을 써보지 못한 채 어제 미국 증시 하락세 마감.
쭈루루쭈루루
현재도 쭈루루 ㅠ
트럼프 관세 폭주 또 다시 시장 집어 삼킴
4분기 GDP 호조와 같은 재료는 영향력 제로...
미국 증시
투자심리지표나 밸류에이션상 단기 바닥을 본거 같으면서도
현재 저항선 작용하고 있는 200일선 뜷고 올라가는게 만만치 않은 상황
뚫고 올라갈만하면 트럼트가 지속적으로 발목을 부여 잡음..
트럼프 자동차 관세 부과선언 파장 심함.
어제 GM 주가 7%대 급락도
전체 차량 52%가 미국 내 생산이고
나머지는 다 밖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사실.. 때문..
관세를 맞은 다른 국가들 불편한 기색 드러내고
멕시코와 같은 국가들은 또 다시 미국과 협상 테이블 준비중...
미국 자동차 산업계서도 반발
목소리 높아지고
트럼프가 이를 수용할 가능성도 낮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자동차 관세뿐 아니라
공격적인 상호관세를 부과했을 때
트럼프와 미국이 얻는 이익이 극히 제한적이지 않을까?
트럼프의 오락가락하는 스피드 있는 관세 횡포에
여러차례 흔들리고 있는 주식시장은
지금 자리에서 역방향 베팅은 지향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
국내 증시 분위기 묘하게 흐르는게 같고
한때 전세계 수익률 최상위권을 기록했던
코스닥은 어느덧 상승폭 대부분 반납해 나고 있고
코스피는 나름 선방하고 있기는 한데...
업종 내 순환매가 워낙 빠르게 진행되고,
여기에 알파를 낼수 있는지 의문과 회의감...
시초 장 버티고 있는 종목들 말고는 전부 폭락장...
코스닥 700 무너졌고...
온통 파란불..
대형주 매물 쏟아내고 있고...
시장의 90%이상 하락중...
아무래도
4월2일 시작되는 관세 영향
공매도 재개
요런 요망한것들이 시장을 압박하는 것 같고..
반등세 보이나 싶으면
코스피 기준 장대 음봉 출현
일본 증시 역시 -1.76% 하락..
나스닥 선물지수 하락 19,969,50
어려워 어려워....
경북 산불대응시스템 대전환 ..
드론 진화로봇 도입한다고 속보 나왔네용
일본증시 -2%대 하락 확대...
원/달러 환율 1465
대부분 업종 지속적 하락...
매수세 약하고
산불 같은 단기 이슈 테마로 돈이 몰리는거 같고...
단기적 이벤트성으로 튀어 오르는 종목
마감때 하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조심조심
그룹주 유상증자로 인한 하락 파동 이어지고...
고점 종목 더 갈듯 싶지만
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선 물량 쏟아지니 이또한 조심..
어제 오늘 걍 놀고만 있넹...
지인에게 팬엔터테인먼트 사보라고 했더니 2730에 잡아 3210에 절반 매도 절반 들고 있다고 하넹
오늘은 운수 좋은날이라고... 한 4천만 매수해서 9백6육십 수익보고 나머지 절반 들고 가는중... 현재 3065
나의 AI에게 진단 요청 했더니...
✔팬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 제작사로, '겨울연가', '해를 품은 달', '동백꽃 필 무렵', 그리고 최근 넷플릭스 오리지널 '폭싹 속았수다'와 같은 히트작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협업 및 콘텐츠 수요 증가로 인해 콘텐츠주로서 주목받아 왔습니다.
2025년 3월 기준으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주가가 단기 과열 종목으로 지정될 만큼 급등한 적이 있으며(2025년 3월 14일 코스닥 시장본부 공시), 이후 변동성이 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3월 20일 기준 장마감 데이터에서는 주가가 2,710원(전일 대비 +75원, +2.85%)으로 기록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변동성을 고려하면 현재 시점에서는 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가 전망 요인
✔콘텐츠 제작 성과
팬엔터테인먼트는 연간 2~3편의 드라마를 제작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해왔으나, 2025년에는 최대 8편까지 제작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OTT 플랫폼(넷플릭스 등)과의 계약 성사 여부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폭싹 속았수다'의 성공 이후 추가적인 글로벌 협업 소식이 주가 상승의 촉매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시장 환경
글로벌 OTT 시장 확대와 한류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로 콘텐츠 제작사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 과열 이후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을 가능성도 있어 투자 심리가 안정될 때까지 변동성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재무적 요인
과거 부동산 자산 재평가(상암동 토지, 201억 원 → 446억 원)와 같은 호재가 주가를 끌어올린 적이 있습니다.
2025년에도 유사한 자산 가치 상승이나 IP(지식재산권) 수익 모델 강화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최근 주가 급등 후 단기 과열 지정으로 3일간 단일가 매매가 적용된 점을 감안하면, 현재는 과열 해소 이후 안정화 단계에 있을 수 있습니다. 거래량과 차트를 통해 지지선과 저항선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망 의견
✔단기 전망
현재 주가가 과열 이후 조정 국면에 있다면 2,500~3,000원 사이에서 안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콘텐츠 계약이나 긍정적 공시가 발표된다면 다시 급등할 잠재력이 있습니다.
✔중장기 전망
OTT 시장 성장과 팬엔터테인먼트의 제작 역량을 고려할 때, IP 중심 수익 모델로의 전환과 실적 개선이 뒷받침된다면 주가는 3,500~4,000원 이상을 목표로 상승할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경쟁사(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 등)와의 비교 및 시장 전체의 변동성을 주시해야 합니다.
나의 AI비서 참으로 똑똑하다...
맛점하자공
오후에도 관망모드
따뜻해지자!!
쫄리 맛있는 밥 사줘야지^^;
'주식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에 대한 생각 (2) | 2025.03.30 |
---|---|
2025년 3월 28일 14:09 주식에 대한 수다 (6) | 2025.03.28 |
2025년 3월 27일 10:13 주식에 대한 수다 (0) | 2025.03.27 |
2025년 3월 26일 14:17 주식에 대한 수다 (18) | 2025.03.26 |
2025년 3월 26일 12:48 주식에 대한 수다 (2) | 2025.03.26 |